본문 바로가기

정리노트/공중보건

공중보건

WHO(1948) 건강의 정의 - 단순히 질병이 없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가 아닌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으로 안녕(사회보장제도가 완비된 곳이 아닌, 사회구성원이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만족스러운 상태의 생활 의미)한 완전한 상태
공중보건학(Winslow, 1920) - 조직화된 지역사회(최소단위 - 주민들이 협조하고 참여할 수 있는 범위)의 공동 노력을 통해 /질병을 예방(치료X), 생명(수명)을 연장, 신체적 · 정신적 효율 증진/(목적)시키는 기술이며 과학
Claude Bernard(1859)의 정의 - 외부환경의 변동에 대하여 내부환경의 항상성이 유지되는 상태
Anderson의 공중보건행정 수단(공중보건사업 수행의 3대 요소)
1. 보건행정(보건서비스에 의한 봉사행정)
2. 보건교육(교육에 의한 조장행정)
3. 보건관계법규(법규에 의한 통제행정)
Ashton&Seymour의 공중보건 4단계
1. 산업보건 시기 - 산업화 · 도시화로 인한 보건문제에 대처한 시기
2. 개인위생 시기 - 개인위생과 예방접종에 중점을 둔 시기
3. 치료의학 시기 - 과학기술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한 치료의학의 전성기
4. 신공중보건 시기 -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라이프 스타일, 행동요인, 환경공해, 생태적 요인

구분 전통의학 예방의학 공중보건학
목적 질병치료 질병예방, 수명연장, 육체적 · 정신적 건강과 능력의 향상
내용 수술, 질병치료, 투약 질병예방, 건강증진 불건강의 원인이 되는 사회적 요인 제거, 집단건강의 향상 도모
대상 각 개인 개인, 가족 지역사회, 국가, 인류
책임소재 각 개인(환자) 개인, 가족 공공조직
진단방법   임상적 진단 지역사회의 보건통계자료
문제해결   진료와 투약 보건관리와 봉사

공중보건학과 유사용어 비교
1. 사회의학 - 단순 생물학적 장애만이 대상이 아닌 사회적 유해요인 제거 대책 강구
2. 지역사회의학 - 공중보건학과 예방의학을 의료분야에 적용시키는 개념, 모든 국민에게 포괄적인 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1970년대 후반부터 발전된 분야
3. 건설의학 - 건강을 적극적으로 증신 · 향상시키는것, 질병의 치료나 예방보다 현재상태를 최고조로 증진시키는게 목적
지역사회 공동 노력 - 환경위생관리, 감염병관리, 개인 위생을 위한 교육, 의료 및 간호서비스의 조직화(질병치료, 조기진단), 사회 제도
공중보건의 원칙 - 참여, 형평, 협동
학문적 성격 - 실천적 · 실용적 성격, 건강 관련 학문들의 결과를 적용, 구성원 모두의 공동노력 실현, 전체의 건강을 추구
공중보건학의 범위
1. 환경보건 분야 - ~위생학, ~환경학, 의복보건, 주택보건, 산업보건 등
2. 보건관리 분야 - ~행정, ~보건, 보건법규, 통계, 교육 등
3. 질병관리 분야 - 역학, 감염병, 보건기생충, 성인병 관리 등
포괄보건의료 - 1, 2, 3차 보건의료의 통합적 개념
1차 - 예방, 교육 / 2차 - 진단, 진료, 급성질환 관리(환자 관리 사업) / 3차 - 재활, 회복, 만성질환 관리, 장기 요양
공중보건의 방법
1. 역학
2. 보건통계
3. 인구집단의 생태학적 필요성
4. 집단과 지역사회의 보건의 공중보건학의 접근
건강의 수준과 예방대책 / 신체개념(심신이원론)→심신개념(심신일원론)→생활개념
건강의 개념 - 정적→동적, 불연속→연속, 절대적→상대적, 개인책임→집단책임(지역사회, 국가), 임상적→기능적
예방대책
1차적 예방(비병원성기, 초기 병원성기) - 예방을 통한 건강상태 향상
적극적 예방 - 환경위생개선, 건강증진, 규칙적인 생활, 운동, 백신(항원)
소극적 예방 - 특수예방→예방접종(항체), 환경관리 및 안전관리, 환경위생 개선
2차적 예방(불현성 감염기, 발현성 질환기) - 질병진행 저지, 합병증과 후유증 방지
3차적 예방 - 의학적, 직업적 사회적 재활

Leavell&Clark에 의한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의 수준 및 대책
구분 병원성 이전기 병원성기
질병의 과정 병인, 숙주, 환경 →상호작용
→병인자극의 형성
병인자극에 대한 숙주의 반응
→조기의 병적 변화
질병
→회복 또는 사망
예비적 조치 건강증진 특수예방 조기발견, 조기치료 악화방지, 장애의 제한을 위한 치료 재활
예방 차원 1차적 예방   2차적 예방   3차적 예방
증상별 비병원 초기병원 불현성 발현성 회복기
기별 진행 무병기 전병기 증병기 진병기 정병기

WHO의 일차 보건의료 접근법4A(1978, 알마아타, WHO&UNICEF) - 접근성, 수용가능성, 주민참여, 지불부담능력
공중보건의 역사적 발달과정

고대기
(AD 500년 이전)
함무라비 법전 - 의료제도와 의사의 지위 등에 관한 기록이 있음
Hippocrates - 장기설, 4액체설
Galenus - 최초로 위생이라는 용어 사용
중세기
(암흑기, 500~1500년)
감염병 만연기
13세기 - 나병(한센병, 십자군 원정)
14세기 - 페스트(흑사병, 칭기스칸의 유럽 정벌)
15세기 말~16세기 - 매독 결핵

검역제도 실시
페스트의 대유행(1348~1377)으로 환자를 도시에서 14일 동안 추방 · 격리 후에 40일간 교통차단
1383년 마르세유에 최초의 검역소 설치, 검역법 제정
근세기
(여명기, 요람기, 태동기,
1500~1850)
시기적 특징
공중보건학이 체계를 갖춘 시기
개인위생이 공중위생으로 바뀌게 되는 시기
산업혁명으로 공중보건의 사상이 싹튼 시기
이탈리아
Ramazzini(1700) - '직업병' 저서(산업의학의 고전, 산업보건의 시도)
독일
J. P. Frank(1745~1821) - '의사경찰체계' 저서(최초의 보건학 저서)
영국
John Graunt - 사망에 관한 최종 통계
Jenner - 1798년 우두 종두법 개발(근대의학의 신기원)
Edwin Chadwick - 1837~1838년에 '열병보고서'를 정부에 보고 - 1842년 보건정책조사위원회 설치
1842년 '영국 노동자집단의 위생 상태에 관한 보고서' 작성
1848년 세계 최초 공중보건법 제정
스웨덴
세계 최초 국세조사(1749) 실시
확립기
(근대기, 1850~1900년)
시기적 특징
 - 예방의학, 위생학교실, 역학조사, 세균학 및 면역학 등장(세균 학설 시대)
 - 공중보건학의 기초 확립
 - 예방의학적 개념 확립, 미생물학의 시대, 방문간호사업 시작
 - 예방백신이 개발된 시기(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
영국
J. Snow - 콜레라에 대한 역학조사로 장기설의 허구성 밝혀 감염병 감염설 입증(1855)
Wiliam Rathborne - 방문간호사업 시행(보건소제도의 효시, 1862)
독일
Pettenkofer - 뮌헨대학 위생학교 창립, 실험위생학의 기초 확립(1866)
Robert Koch - 콜레라균, 결핵균, 파상풍균, 탄저균 발견(1882)
Bismarck - 최초로 근로자를 위한 질병보험법 제정(현대적 사회보장제도를 만드는데 공헌, 1883)
프랑스
L. Pasteur - 근대의학의 창시자, 백신(닭콜레라, 돼지단독, 광견병, 탄저병 등) 개발

1851년 지중해 연안을 중심으로 12개국이 참가하여 제 1회 국제보건회의를 파리에서 개최
발전기
(1900년 이후~)
시기적 특징
 - 탈미생물학의 시대, 국제보건기구 창설, 포괄의료의 필요성 대두, 알마아타선언, 리우환경선언
 - 지역사회 보건학 확립 시기
 - 1900년 이후 현대의학이 발전하여 근대보건의 급진적 발전
WHO&UNEP 발족
미국 - 최초의 사회보장법 제정(1935)
알마아타회의(일차 보건의료) - 건강권 추구(1978)
리우환경선언 - 1992년 6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의료기관 비교

구분 고려 조선
의료행정 태의감 전의감(치종청이 합병)
왕실의료 상약국 내의원
서민의료 혜민국 혜민서
빈민구호 재위보 제생원
감염병 환자 동서대비원 동서활인원
의약담당   전향사
의약구료, 종두, 가축병 검사   광제원

지석영 - 중두법(1879)
우리나라 보건행정조직의 변천(정부 수립 후 명칭 변경)
사회부(1948)→보건부(1949)→보건사회부(1955)→보건복지부(1994)보건복지가족부(2008)→보건복지부(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