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리노트/한국사

고조선

  고조선(기원전2333년 ~ 기원전108년)
기원전 2333년 단군왕검이 건국 / 대동강 유역, 랴오닝(요령) 중심 / 독자적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성장 / 군장국가
기원전 5세기를 기준 비파형 동검과 세형동검으로 나뉨
기원전 4세기 경 랴오시(요서)를 경계로 연나라(중국의 전국 7웅 중 하나)와 대립할 만큼 강성
기원전 3세기 초 연나라 장수 진개의 고조선 침입{서쪽영토 2000여리 상실(요동)} 후 평양으로 중심지 이동
기원전 3세기 경 고조선이 왕호를 사용할만큼 국력 증가(왕권 강화) / 부왕, 준왕
(연나라가 스스로 왕을 칭하자 고조선도 독자적으로 왕을 칭함)
관직설치 - 상, 경, 대부, 대신, 장군, 박사 등(중앙 통치 체제 준비)
기원전 2세기 초 준왕 시기(진 · 한 교체기)에 연나라 위만이 고조선에 망명+1천여 명 식솔(철제 장인 다수)
준왕의 위만우대{관직제수(박사)} - 서쪽 변경 수비대장(유이민 연합 위만 세력 증가)
기원전 194년 위만이 준왕 축출(왕을 보호한다는 구실로 왕검성으로 들어와 준왕을 몰아내고 스스로 왕이 됨)
준왕은 남하하여 진국(마한, 남방진) 건국 한왕(진왕)이 됨
위만 조선의 성립 - 철기문화 본격 수용(철제 농기구, 무기) - 수공업 발달
기원전 128년 한이 요하 방면으로 세력을 뻗어 오자 고조선에 복속되어 있던 예왕 남려가
28만여 명 주민을 이끌고 한(요동)에 투항 - 한은 창해군 설치
기원전 109년 한의 사신 섭하가 고조선의 장수 살해 - 우거왕이 한의 사신 섭하 살해 - 한 무제의 고조선 침략
전쟁 초기 고조선의 승리(패수전투, 청천강) - 전쟁 장기화(1년)로 지배층 내분
기원전 108년 이계상 삼이 우거왕(위만 손자) 살해 - 왕검성(대동강 유역) 함락(성기 장군 최후 항전) 후 고조선 멸망

고조선의 세력(영역) 범위 -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미송리식 토기, 북방식 고인돌 중 2개 이상 공통 발견 지역

단군 조선설 - 한국의 주장
기자 동래설(조선설) - 조선 시대 사림의 주장(현재 부정되는 학설)
                            소중화의 근거로 삼음, 민족 문화에 대한 자부심 향상(오랑캐가 세운 나라가 아니라는 증거)
                            「기자실기」(이이)

위만조선 - 단군 조선 계승('조선'을 그대로 국호로 사용) / 중앙 정치 조직 정비(관직 정비) - 토착민을 고위 관리로 등용
               흰 옷, 상투(조선인의 옷)를 입고 남하(중국「한서」에 실린 내용)
               철 본격 보급 / 영토 확장(임둔, 진번 등의 주변 지역 복속) / 한과 예 사이의 중계 무역(이익 독점)

단군조선 위만조선
기원전 2333년 단군왕검이 건국 기원전 194년 위만이 성립
청동기 문화를 바탕으로 성장 본격적인 철기 문화 수용 - 경제적 기반 확대)
연나라와 대립할 만큼 강성 한의 침략으로 멸망
단군신화 - 선민 사상, 제정일치 반영 중계무역 독점(한과 예 사이) - 경제적 기반 확대
  고조선 멸망 후 한의 지배
한 군현(한4군) 설치 낙랑, 진번, 임둔, 현도(진번과 임둔은 기존에 존재)
법 조항 60여 개로 증가 풍속이 각박해짐 - 토착 세력의 반발
분열정책(염사치사화) 마한의 염사치가 노비가 된 한나라 사람들을 낙랑에 데려간 뒤 포상을 받은 이야기(정치적 회유책)
  한 군현(한4군)의 소멸
낙랑군 고구려 미천왕에 의해 멸망
진번군 낙랑과 현도에 병합
임둔군 낙랑에 병합
현도군 고구려인의 저항(주몽)으로 푸순 방면으로 축출
  단군신화
홍익인간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이념
제정일치사회 단군(제사장) + 왕검(정치적 군장)
구릉지대(농경생활) 풍백, 우사, 운사가 바람, 비, 구름 등 농경과 관계되는 일 주관
사유 재산 성립, 계급 분화 지배 계급이 피지배층을 통제
토테미즘 곰과 호랑이를 숭배하는 부족이 존재
부족 연합 환웅 부족과 곰 숭배 부족의 연합 - 호랑이 숭배 부족 배제
선민사상 환웅 부족은 하늘의 자손임을 강조 - 지배 정당성 확보, 우월성 과시
가부장제 사회 여성 정절 중시
  8조법 - 「한서 - 지리지」(3개 조항만 남음)
살인죄 살인자는 즉시 사형에 처함 - 인간의 생명을 중시하는 사회
상해죄 남의 신체를 상해한 자는 곡물로 보상 - 노동력을 중시하는 농경 사회
절도죄 도둑질한 자는 소유주의 노예가 됨, 자속하려는 자는 50만전을 냄 - 사유재산이 인정되는 계급 사회
  중국의 고조선(단군 이야기) 관련 기록
관자(관중) 기원전 7세기 혹은 4세기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 - 최초로 고조선 언급(무역 관련 내용 기록)
산해경 기원전 4세기경 편찬된 것으로 추정 - '조선'이라는 나라 이름이 정확히 기록(내용 신뢰성X)
사기 - 조선열전(사마천) 위만의 망명과 위만조선의 건국에 대해 기록
한서 - 지리지(반고) 8조법에 대해 기록
    한국의 고조선(단군 이야기) 관련 기록
삼국유사(일연) 고려 충렬왕 단군 신화(건국 신화) 기록, 대동강 중심설 주장(가장 오래된 한국 사서)
고조선의 건국연대가 '여고동시'(중국 요 임금 시기와 같음)로 기록
제왕운기(이승휴) 고려 충렬왕 「본기」를 인용하여 단군 소개, 단군 신화(건국 신화) 기록
세종실록-지리지(춘추관) 조선 단종 단군 아들 부루가 북부여 왕이 된 이야기 기록
응제시주(권람) 조선 세조 요동 중심설 주장
삼국사절요(서거정) 조선 성종  
동국여지승람(노사신) 조선 성종  
동국통감(서거정) 조선 성종 단군왕검의 고조선 건국 기록
표제음주동국사략(유희령) 조선 중종 「동국통감」을 축약하여 단군부터 고려까지 일을 서술(단군 조선을 상세히 다룸)
신증동국여지승람 조선 중종  

 

'정리노트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저와 동예  (0) 2020.10.07
고구려  (0) 2020.10.07
부여  (0) 2020.10.07
청동기 시대 vs 철기 시대  (0) 2020.10.03
청동기 시대  (0) 2020.10.02
신석기 시대  (0) 2020.10.02
구석기 시대  (0) 2020.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