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리노트/한국사

통일신라 왕 업적

무열왕(김춘추, 654~661)
최초의 진골 출신 왕(성골 폐지) - 진골 출신 왕위 세습 시작(무열왕 직계자손)
지배층 개편 - 가야 출신 김유신의 누이를 왕비로 맞음(왕비족 박씨 종식)
갈문왕 제도 폐지 - 왕의 동생들에게 특권적 지위 부여 제도 폐지
중시(시중)의 기능 강화 - 국가 행정 실무 전반 총괄, 국왕 보좌
상대등 약화 - 힘이 약해져 귀족들의 입장을 충분히 대변하지 못함
중국식 시호 사용 - 태종(죽고난 후 붙음)
황산벌 전투(계백vs김유신) - 나 · 당 연합군(김유신+소정방)의 백제 사비성 함락(백제 멸망, 660, 의자왕)
웅진 도독부 설치(660)

문무왕(661~681)

  백제 부흥 운동 전개 - 실패
주류성 복신, 도침(사비성의 당 군대를 공격) / 부흥 운동을 주도한 복신을 나 · 당 연합군이 공격
임존성 흑치상지(왕자 부여풍 추대, 당에 투항), 지수신(고구려에 투항 - 망명)
백강 전투 일본 수군의 지원하였으나 나 · 당 연합군에 패배(부여풍의 고구려 망명)

계림 도독부 설치(경주, 663) -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
나 · 당 연합군의 고구려 평양성 함락{김인문(김춘추의 2째 아들)의 활약} - 고구려 멸망(668, 보장왕)
안동 도호부(도호부사 - 설인귀) 설치(평양, 668)

  고구려 부흥 운동 전개 - 실패
오골성 고연무
한성(황해도 재령) 검모잠
금마저(전북 익산) 안승(보장왕의 서자, 검모잠을 살해 후 신라에 투항(670)
신라의 지원을 받기 위해 전북으로 내려옴 - 보덕국 건국(안동 도호부 물리침)

당의 한반도 지배 야욕으로 나 · 당 전쟁 전개

  신라가 백제, 고구려 유민과 연합
웅진 도독부 축출 소부리주(백제 자치국) 설치(671)
안승(보장왕의 서자) 지원 보덕국 건국(674)

마전 · 적성(임진강)전투
매소성(경기도 연천) 전투(육지) - 신라vs당 이근행의 20만 대군(신라가 전쟁의 주도권 장악)
기벌포(금강 하구) 전투(바다) - 신라vs당 설인귀의 해군(안동 도호부 요동으로 축출)
나 · 당 전쟁에서 신라 승리 - 삼국 통일 달성(대동강~원산만, 676)
관부 정비 - 우이방부, 선부 설치 / 군주 총관(주의 장관)으로 변경
외사정 파견(지방관 감찰)
강수 - 외교문서를 잘지어 문무왕에게 인정받음, 불교는 세외교하여 비판

신문왕(681~692)

  왕권 전제화
문무왕릉 문무왕의 해중무덤(용이 되어 바다를 지킴)
감은사 문무왕의 업적을 기림(용이 쉬는 호수 존재)
만파식적 용이된 문무왕을 부르는 도구

김흠돌 모역 사건(681) - 귀족 세력 숙청(왕권 강화)
국학 설치(682) - 유교 교육(논어, 효경, 예기 등 유교 경전) 기관(박사와 조교를 두어 교육 담당)
                      독자적인 교육기관이나 당의 교욱기관인 국자감을 참고하여 설치
보덕국의 고구려 유민들이 일으킨 반란 진압(683)

  중앙관부 및 조직 정비
중앙 집사부 이하 14부 완성
지방 9주 5소경(지방 행정 조직) 완비 - 넓어진 영토를 관리하기 위해
군사 시위부(왕 친위 부대) 강화, 9서당(중앙군), 10정(지방군) 편성

토지 제도 개편(토지 개혁 시도) - 관료전(수조권만 인정하는 토지) 지급(687), 녹읍 폐지(혁파)(689)
왕실의 정통성 강화 - 5묘제 확립(문무 - 무열 - 문흥 - 진지 - 태조)
달구벌(대구) 천도 시도 - 실패(689)
설총(6두품) - 화왕계를 통해 조언
감은사지 3층 석탑(682) - 아버지 문무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효소왕(692~702)
서시, 남시(경주) 설치 - 시장 활성화(인구 증가와 상품 생산 확대)

성덕왕(702~737)
국학 재정비 - 공자와 72제자의 화상을 국학에 안치(유학을 유교로 만들고 싶은 의지)
김대문 - 「계림잡전」, 「화랑세기」, 「악본」, 「한산기」, 「고승전」
백성들에게 정전 지급(722) - 토지 개혁 시도(왕토사상)
당과의 국교 재개 - 당의 요청으로 발해(무왕) 공격
일본과 수교 - 견신라사 파견
상원사 종 주조(우리나라 가장 오래된 동종, 725)
백관잠 제시 - 관리들이 지켜야 할 계율 덕목

경덕왕(742~765)
불국사(751), 석굴암(김대성) 축조 - 왕권 강화

성덕 대왕 신종(에밀레 종) 주조 시작
녹읍 부활(757) - 귀족의 반발로 부활(왕권 약화)

  중국식 명칭 사용(한화 정책)
군현(주현)의 이름(9주의 명칭) 사벌주 - 상주 / 한산주 - 한주 (757)
중앙 관료의 칭호 중시 - 시중 (759)
국학 태학(감) - 박사, 조교 설치

당 대종에게 공예품인 만불산 선물
안민가(충당) - 향가

혜공왕(765~780)
성덕 대왕 신종 주조 완성(771)

  진골 귀족들의 반란
대공 · 대렴의 난 96각간의 난(전국에서 귀족들이 난에 동참) - 김양상이 진압(768)
김양상(내물계) 정권 장악(774)
김지정(무열계)의 난 김양상에 의해 진압 - 진압 과정에서 혜공왕 피살(780)

무열계 몰락 - 혜공왕 피살 후 150여넌 동안 20여명의 왕이 교체(진골 귀족의 왕위 쟁탈전 심화)

선덕왕(김양상, 780~785)
귀족 연합 정치 - 귀족 연립 정권의 형태(화백회의 강화)
왕권 약화 - 상대등 강화(왕위 계승자가 없을 경우 후보로 인식, 화백회의 의장)
패강진(황해도 평산) 개척 - 위쪽 영토 개척(782)

원성왕(김경신, 785~798)
내물왕계의 왕위 계승 - 무열왕계(김주원)를 몰아냄

독서삼품과(독서출신과) 실시(788) - 독자적 교육 제도
최초의 관리 선발 제도 - 실패(진골 세력의 반발)
사회 모순을 없애려는 노력 - 6두품이 지지
학문과 유학을 보급시키는데 이바지

총관 - 도독으로 변경(군주의 군사적 성격에서 도독의 행정적 성격으로 변경)

소성왕(799~800)
청주 거로현을 국학생의 녹읍으로 지급

헌덕왕(809~826)

지방 귀족 반란 무열계를 6두품으로 강등
김헌창의 난(822) 아버지인 김주원이 왕위를 계승하지 못한 데에 불만을 품은 웅천주(공주) 도독 김헌창이 난을 일으킴
웅주를 근거지로 장안이라는 나라를 세움(국호 - 장안, 연호 - 경운)
김범문의 난(825) 김헌창의 아들 김범문이 고달산(여주)에서 난을 일으켜 북한산주 공격

이차돈순교비 - 백률사 석당에 건립
급찬 숭정이 발해의 사신으로 옴

흥덕왕(826~836)

청해진 대사 장보고의 활약
당에 건너가 서주 무령군 소장이 됨
산둥 반도(당)에 법화원 건립 - 신라인 단결 도모
완도에 청해진 설치(해상 무역권 장악) - 해적 소탕 목적(828)
당에 견당 매물사, 일본에 회역사를 파견(교역 사절단)
당 - 신라 - 일본을 잇는 국제 무역 주도(남해, 황해 장악)
민애왕을 몰아내고 신무왕 옹립(839)

집사부 - 집사성으로 개칭
사치 금지령 반포(834)

진성 여왕(887~897)
「삼대목」 편찬(각간 위홍, 대구 화상) - 현존X(888)
원종 · 애노의 난 - 농민 수탈에 대한 봉기{889, 상주(사벌주)}
견훤 - 무진주를 점령하고 스스로 왕위에 오름(892)
양길 - 궁예에게 군사를 내어 주고 명주를 공격시킴(894)
적고적의 난 - 농민 수탈에 대한 봉기(896)

최치원(6두품)  
시무책 10여조 과거제도 등 개혁 요구안 - 진골 세력의 반발로 실현X, 아찬의 벼슬에 오름
계원필경 시문집
제왕연대력 신라왕의 역사를 연표형식으로 정리
토황소격문 당에서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토벌하는 격문 지음 - 격황소서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문 진골 귀족과 골품제도를 비판
난랑비석문 신라 화랑을 위한 비석, 삼교회통사상을 보여줌
사륙집  
사산비문 대낭혜화낭백월보광탑비문, 진강선사대공령탑비문, 대숭복사비문, 지증대사적조탑비문

견훤 - 지방의 군사력과 호족 세력을 토대로 단산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 건국(900)

경애왕(924~927)
후백제 견훤에게 피살

경순왕(김부, 927~935)
고려 왕권에게 항복 - 신라 멸망)

'정리노트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해의 정치와 문화  (0) 2020.10.28
발해 왕 업적  (1) 2020.10.28
통일신라의 정치와 문화  (0) 2020.10.28
신라의 정치와 문화  (0) 2020.10.27
신라 왕 업적  (0) 2020.10.25
백제의 정치와 문화  (0) 2020.10.22
백제 왕 업적  (0) 2020.10.22